728x90

구명보트

문제 설명

무인도에 갇힌 사람들을 구명보트를 이용하여 구출하려고 합니다. 구명보트는 작아서 한 번에 최대 2명씩 밖에 탈 수 없고, 무게 제한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의 몸무게가 [70kg, 50kg, 80kg, 50kg]이고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이 100kg이라면 2번째 사람과 4번째 사람은 같이 탈 수 있지만 1번째 사람과 3번째 사람의 무게의 합은 150kg이므로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을 초과하여 같이 탈 수 없습니다.

구명보트를 최대한 적게 사용하여 모든 사람을 구출하려고 합니다.

사람들의 몸무게를 담은 배열 people과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 limi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사람을 구출하기 위해 필요한 구명보트 개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무인도에 갇힌 사람은 1명 이상 50,000명 이하입니다.
  • 각 사람의 몸무게는 40kg 이상 240kg 이하입니다.
  •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은 40kg 이상 240kg 이하입니다.
  •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은 항상 사람들의 몸무게 중 최댓값보다 크게 주어지므로 사람들을 구출할 수 없는 경우는 없습니다.

 

입출력 예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ution(people, limit):
    answer = 0
    
    # 보트에 한번에 2명만 가능
    # limit 보트 무게 제한
    
    people.sort(key=lambda x: -x)
    people = deque(people)
    
    while len(people) > 0:
        if len(people) > 1 and people[-1] + people[0] <= limit:
            people.popleft()
            people.pop()
            answer += 1
        else:
            people.popleft()
            answer += 1
        
    return answer
728x90

조이스틱

문제 설명

조이스틱으로 알파벳 이름을 완성하세요. 맨 처음엔 A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ex) 완성해야 하는 이름이 세 글자면 AAA, 네 글자면 AAAA 조이스틱을 각 방향으로 움직이면 아래와 같습니다.

▲ - 다음 알파벳
▼ - 이전 알파벳 (A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Z로)
◀ -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 (첫 번째 위치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 마지막 문자에 커서)
▶ - 커서를 오른쪽으로 이동 (마지막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첫 번째 문자에 커서)

 

예를 들어 아래의 방법으로 "JAZ"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첫 번째 위치에서 조이스틱을 위로 9번 조작하여 J를 완성합니다.
- 조이스틱을 왼쪽으로 1번 조작하여 커서를 마지막 문자 위치로 이동시킵니다.
- 마지막 위치에서 조이스틱을 아래로 1번 조작하여 Z를 완성합니다.
따라서 11번 이동시켜 "JAZ"를 만들 수 있고, 이때가 최소 이동입니다.

 

만들고자 하는 이름 name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름에 대해 조이스틱 조작 횟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만드세요.

 

제한 사항

  • name은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name의 길이는 1 이상 20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시

 

코드

# 조이스틱
def solution(name):
    A = 65
    Z = 90
    answer = 0
    n = len(name)
    
    # 각 문자에 대해 위아래 조작 횟수 계산
    for char in name:
        answer += min(ord(char) - A, Z - ord(char) + 1)
    
    # 좌우 이동 최소값 계산
    move = n - 1
    for i in range(n):
        next = i + 1
        while next < n and name[next] == 'A':
            next += 1
        move = min([move, 2 * i + n - next, i + 2 * (n - next)])
    
    return answer + move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60?language=python3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728x90

IF문 좀 대신 써줘

시간초과 코드

from sys import stdin

N, M = map(int, stdin.readline().strip().split())

powers = []
titles = []

for _ in range(N):
    title, power = map(str, stdin.readline().strip().split())
    power = int(power)
    powers.append(power)
    titles.append(title)

for _ in range(M):
    userPower = int(stdin.readline().strip())
    for idx in range(len(powers)):
        if userPower <= powers[idx]:
            print(titles[idx])
            break

 

성공 코드

from sys import stdin

N, M = map(int, stdin.readline().strip().split())

powers = []

for _ in range(N):
    title, power = map(str, stdin.readline().strip().split())
    powers.append([title, int(power)])


powers.sort(key=lambda x: x[1]) # 오름차순 정렬

for _ in range(M):
    power = int(stdin.readline().strip())
    start = 0
    end = len(powers)-1

    while start <= end:
        mid = (start+end) // 2
        if power > powers[mid][1]:
            start = mid + 1
        else:
            end = mid - 1

    print(powers[start][0])
728x90

타노스

 

내코드

from sys import stdin

# 사전순 가장 빠른 것을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 1은 왼쪽에서 부터 삭제, 0은 오른쪽에서부터 삭제
s = stdin.readline().strip()

count0 = s.count("0")//2
count1 = s.count("1")//2

while count0 > 0 or count1 > 0:
    if count1 > 0:
        idx1 = s.index("1")
        s = list(s)
        s[idx1] = ''
        s = "".join(s)
        count1 -= 1
    if count0 > 0:
        idx0 = s.rindex("0")
        s = list(s)
        s[idx0] = ''
        s = "".join(s)
        count0 -= 1

print("".join(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