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리 놓기
T = int(input())
def bridge(n, m):
dp = [[0 for _ in range(m+1)] for _ in range(n+1)]
for i in range(1, m+1):
dp[1][i] = i # N이 1일 때
# N이 2 이상일 때
for i in range(2, n+1):
for j in range(i, m+1):
for k in range(j, i-1, -1):
dp[i][j] += dp[i-1][k-1]
return dp[n][m]
for _ in range(T):
N, M = map(int, input().split())
print(bridge(N,M))
# 공유기 설치
# 이진 탐색 문제
N, C = map(int, input().split())
arr = []
for _ in range(N):
arr.append(int(input()))
arr.sort()
start = 1 # 공유기 거리 최소
end = arr[-1] - arr[0] # 공유기 거리 최대
result = 0
# 재귀로 적절한 두 공유기 사이의 거리를 찾는다.
while(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 현재 공유기 거리
current = arr[0]
count = 1
# 공유기 설치 몇 대 할 수 있는지 체크
for i in range(1, len(arr)):
if arr[i] >= current + mid:
count += 1
current = arr[i]
# 공유기 설치 수가 목표 보다 크면 공유기 사이 거리 늘림
if count >= C:
start = mid + 1
result = mid
# 공유기 설치 수가 목표 보다 작으면 공유기 사이 거리 줄임
else:
end = mid -1
print(result)
# 유기농 배추
from sys import stdin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tdin.readline
def get_positio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ground[i][j] == 1:
return (i, j)
return (-1, -1)
def bfs(value):
global ground
start = get_position()
queue = deque([start])
directions = [(-1, 0), (1, 0), (0, -1), (0, 1)]
while queue:
x, y = queue.popleft()
ground[x][y] = value
for dx, dy in directions:
nx, ny = x + dx, y + dy
if 0 <= nx < N and 0 <= ny < M and ground[nx][ny] == 1:
ground[nx][ny] = value
queue.append((nx, ny))
if get_position() != (-1, -1):
bfs(value + 1)
T = int(input())
for _ in range(T):
M, N, B = map(int, input().split())
ground = [[0] * M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B):
x, y = map(int, input().split())
ground[y][x] = 1
bfs(2)
max_value = -1
for g in ground:
max_value = max(max_value, max(g))
print(max_value - 1)
크기가 N x 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 3인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놓여저 있는 곳의 좌표는(x, y)이다.
가장 처음에 주사위에는 모든 면에 0이 적혀져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 주사위를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에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주사위는 지도의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된다.
입력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 (0 <= x <= N -1, 0 <= y <= M -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에 쓰여 있는 수가 북쪽부터 남쪽으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주사위를 놓은 칸에 쓰여 있는 수는 항상 0이다.
지도의 각 칸에 쓰여 있는 수는 10미만의 자연수 또는 0이다.
마지막 줄에는 이동하는 명령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동쪽은 1, 서쪽은 2, 북쪽은 3, 남쪽은 4로 주어진다.
출력
이동할 때마다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 있는 수를 출력한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 문제 풀이 아이디어
규칙에 맞춰 단순 구현하면 될 것 같음.
규칙
남쪽이동 ⬇️
front -> down
down -> back
back -> up
up -> front
북쪽이동 ⬆️
front -> up
up -> back
back -> down
down -> front
동쪽이동 ➡️
right -> down
down -> left
left -> up
up -> right
서쪽이동 ⬅️
left -> down
down -> right
right -> up
up -> left
✅ 정답 코드
# 주사위 굴리기
from sys import stdin
input = stdin.readline
N, M, x, y, k = map(int, input().split())
maps = []
for _ in range(N):
maps.append(list(map(int, input().split())))
commands = list(map(int, input().split()))
up = 0
down = 0
right = 0
front = 0
back = 0
left = 0
SOUTH, NORTH, EAST, WEST = 4, 3, 1, 2
# SOUTH => front
# NORTH => back
# EAST => left
# WEST => right
positions = (x, y)
for c in commands:
#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if c == SOUTH:
nx, ny = positions[0] + 1, positions[1]
elif c == NORTH:
nx, ny = positions[0] - 1, positions[1]
elif c == WEST:
nx, ny = positions[0], positions[1] -1
else:
nx, ny = positions[0], positions[1] + 1
# 범위 넘어가면 아무것도 안함
if 0 <= nx < N and 0 <= ny < M:
positions = (nx, ny)
else:
continue
if c == SOUTH:
tmp = front
front = up
up = back
back = down
down = tmp
elif c == NORTH:
tmp = up
up = front
front = down
down = back
back = tmp
elif c == WEST:
tmp = left
left = up
up = right
right = down
down = tmp
else:
tmp = right
right = up
up = left
left = down
down = tmp
if maps[nx][ny] == 0:
maps[nx][ny] = down
else:
down = maps[nx][ny]
maps[nx][ny] = 0
# print()
# print(' ', back)
# print(left, up, right)
# print(' ', front)
# print(' ', down)
print(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