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

Javascript ES6 이전까지는 비슷한 종류의 객체를 많이 만들어내기 위해 생성자를 사용해 왔으나, ES6 이후에서 Class라는 개념이 도입되면서 Class가 생성자의 기능을 대체하게 된다. 

객체지향언어 ( ex : JAVA, C++ ... 등 ) 을 공부했던 사람들이라면 바로 이해하고 익힐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Class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재사용성이다.

예시로 여러 동물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야 한다고 가정할 때 동물들은 기본적으로 "name", "age"라는 속성을 갖고, "walk"라는 method를 갖는다고 가정을 한다면 동물마다 하나하나 해당 속성을 정의하게 되면 동물의 수가 적을 경우에는 간단할 수 있지만 100마리, 1000마리, 10000마리 ... 를 정의한다고 가정하면 매우 시간이 많이 들고 코드의 수가 길어지며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속성이 중복되는 경우 하나의 Class로 해당 속성들을 정의하면 코드가 훨씬 짧아질 뿐만아니라, 가독성 또한 상승된다. 

아래 코드가 그 예시이다.

class Animal {
	constructor(name,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position = 0;
    }
	
    Walk() {
    	this.position += 1;
    }
}

const Rabbit = new Animal("토끼",3);
const Dog = new Animal("개",2);

console.log(Rabbit);
Rabbit.Walk();
console.log(Rabbit.position);

console.log(Dog);

 

console.log 출력 값


Class 기본 문법

Class 생성하기

class 생성하는 것은 간단하다. class 다음에 만들고자 하는 class 이름을 입력한 후 중괄호로 닫아주면 된다.

class "className" {

}

let classTest = new "className"();

console.log(classTest);

// console.log 결과 "className" {}

 

Class 초깃값 설정

class의 초깃값은 constructor라는 생성자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class 내부에는 한 개의 constructor만 존재할 수 있으며, 2개 이상 선언 시 아래와 같은 Syntax Error가 발생한다.

Uncaught SyntaxError: A class may only have one constructor

class Animal {
	constructor( name , age , position )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position = position;
    }
}

const Rabbit = new Animal("rabbit",2,5);

console.log(Rabbit);
// Animal { name : "rabbit", age : 2, position : 5 }

 

Class method 생성/사용

class의 method는 function 형식으로 만들어 준다. 해당 메서드를 사용할 경우 " 객체가 담긴 변수명.메소드() " ( Rabbit.Walk() ) 형식으로 호출 가능하다. 

class Animal {
	constructor( name , age , position )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position = position;
    }
    
    Walk(){
    	this.position += 1;
    }
}

const Rabbit = new Animal("rabbit",2,5);

console.log(Rabbit);
// Animal { name : "rabbit", age : 2, position : 5 }

Rabbit.Walk();
Rabbit.Walk();

console.log(Rabbit);
// Animal { name : "rabbit", age : 2, position : 7 }

 

class내부에서 메소드를 정의하는 것이 아닌 class 외부에서도 메소드 정의가 가능하다. 그러나 class 자체에 추가하는 것이 아닌 class 객체를 담고 있는 변수에서 추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변수외의 또 다른 Animal class 객체를 담고 있는 변수의 경우 외부에서 정의한 메소드 사용이 불가능하다. 

아래 코드를 참고하여 보자.

class Animal {
    constructor( name , age , position )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position = position;
    }

    Walk(){
        this.position += 1;
    }
}

const Rabbit = new Animal("rabbit",2,5);
Rabbit.Jump = function(){
    return `${this.name} jump`
}

console.log(Rabbit);
// Animal { name : "rabbit", age : 2, position : 5 }

Rabbit.Walk();
console.log(Rabbit.Jump()); // rabbit jump

console.log(Rabbit);
// Animal { name : "rabbit", age : 2, position : 6 }

 

extends 상속

class에는 상속이라는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 예제를 보면 더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속받은 class의 속성, method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class Animal {
    constructor( name , age , position )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position = position;
    }

    Walk(){
        this.position += 1;
    }
}

class Rabbit extends Animal {
	Jump(){
    	console.log("Rabbit Jump");
    }
}

class Dog extends Animal {
	Bark(){
    	console.log("Wang Wang!");
    }
}

const dog = new Dog("meonzy",3,10);
const rabbit = new Rabbit("tosun",2,9);

dog.Bark();
dog.Walk();
rabbit.Jump();
rabbit.Walk();

 

super 키워드

super 키워드를 사용하여 자식 class에서 부모 class를 호출할 수 있다. 주로 constructor에서 많이 사용한다.

class Animal {
    constructor( name , age , position )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position = position;
    }

    Walk(){
        this.position += 1;
    }
}

class Rabbit extends Animal {
	constructor(name, age, position, jumpSkill){
    	super(name,age,position);
        this.jumpSkill = jumpSkill;
    }
	Jump(){
    	console.log(`Rabbit ${this.jumpSkill} jump`);
    }
}

class Dog extends Animal {
	Bark(){
    	console.log("Wang Wang!");
    }
}

const dog = new Dog("meonzy",3,10);
const rabbit = new Rabbit("tosun",2,9,"100%);

dog.Bark();
dog.Walk();
rabbit.Jump();
rabbit.Walk();

 

참고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Classes

728x90

'Language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script ] async/await  (0) 2022.03.07
[ Javascript ] Promise  (0) 2022.03.06
[ Javascript ] Set Object  (0) 2022.01.11
[ Javascript ] Map Object  (0) 2022.01.11
[ Javascript ] Array.prototype.includes()  (0) 2022.01.11

H-Index

문제 설명

H-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어느 과학자의 H-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 위키백과1에 따르면, H-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Index입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과학자의 H-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1편 이상 1,000편 이하입니다.
  • 논문별 인용 횟수는 0회 이상 10,000회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citationsreturn
[3, 0, 6, 1, 5] 3

 

입출력 예 설명

이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5편이고, 그중 3편의 논문은 3회 이상 인용되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2편의 논문은 3회 이하 인용되었기 때문에 이 과학자의 H-Index는 3입니다.


문제 풀이

H-index 를 이해하는데 시간 좀 오래 걸렸었다.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270333 내용을 참고하였다. 피인용수와 논문수가 같아지거나, 피인용수와 논문수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숫자가 H-index이기 때문에 citations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준 후 for을 돌려 조건문을 통해서 피인용지수와 논문 index 를 비교하여 조건에 걸리면 H-index를 return하게 코드를 짰다. 

 

function solution(citations) {
    
    // 내림차순 정렬
    citations.sort( (a,b) => {
        return b - a;
    });
        
    for( let i = 0 ; i < citations.length ; i ++){
        let h_index = i + 1;
        if( citations[i] < h_index){
            return h_index - 1;
        }
        
        if( citations[i] === h_index){
            return h_index;
        }
        
        if( h_index === citations.length ){
            return h_index;
        }
    }
}
728x90

이전 글

1. 2022.02.09 - [React] - [ React ] React Router #1

2. 2022.02.10 - [React] - [ React ] React Router #2


URL Parameter

예시 : /profile/kitez

 

Query

예시 : /profile?isMobile=true

 

페이지주소를 정의할 때 유동적인 값을 전달해야 할 경우도 있다. 이때 유동적인 값을 URL parameter나 Query를 통해서 전달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특정 아이디 혹은 이름 등을 조회하는 경우에는 URL parameter를 사용하며, 우리가 어떤 키워드를 검색하거나, 페이지에 대한 옵션을 전달하는 경우에는 Query를 사용한다. 


URL parameter

// src/Profile.js

import {useParams} from "react-router-dom";

const data = {
    kitez : {
        name : "장연지",
        description : "애기 개발자"
    },
    arin : {
        name : "오아린",
        description : "얼굴 천재"
    }
};

const Profile = () => {

    const { username }  = useParams();
    const profile = data[username];

    if(!profile){
        return <div><h1>존재하지 않는 사용자입니다.</h1></div>;
    }
    return(
        <div>
            <h1>{username}({profile.name})</h1>
            <h4>description : {profile.description}</h4>
        </div>
    );
};

export default Profile;

 

// src/App.js

import './App.css';
import {Link, Route, Routes, useRoutes} from "react-router-dom";
import Home from "./Home";
import About from "./About";
import Profile from "./Profile";


function App() {
    let element = useRoutes([
        { path : "/", element : <Home /> },
        { path : "/home", element : <Home /> },
        { path : "/about", element : <About /> }
    ]);

  return (
      //element
    <div className="App">
        <h1> 라우팅 프로젝트 </h1>

        <ul>
            <li>
                <h2><Link to="/">Home</Link></h2>
            </li>

            <li>
                <h2><Link to="/about">About</Link></h2>
            </li>

            <li>
                <h2><Link to="/profile/kitez">Profile : kitez</Link></h2>
            </li>

            <li>
                <h2><Link to="/profile/arin">Profile : arin</Link></h2>
            </li>
        </ul>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 />
            <Route path="/about" element={<About />} />
            <Route path="/profile/:username" element={<Profile />} />
        </Routes>
    </div>
  );
}

export default App;

 

실행결과

 

→ react-router-dom library의 useParams 라는 Hook을 사용하여 /profile/:username 의 파라미터 값을 읽어와 해당 parameter값에 해당하는 유저의 정보를 보여준다. 

 


URL Query

// src/About.js

import {useSearchParams} from "react-router-dom";

const About = () => {

    const [ searchParams ] = useSearchParams();
    const query = searchParams.get('detail');

    return(
        <div>
            <h1>I'm About!</h1>
            <h3>소개</h3>
            { query !== null ? <p>query is {query}</p> : <p>query is null</p>}
        </div>
    );
};

export default About;

 

실행결과

 

 

useSearchParams

useSearchParams는 Array()를 반환한다.  

useSearchParams()의 반환값을 아래 코드를 통해 콘솔에서 Array()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가 사용할 것은 0 번째 index에 위치하는 URLSearchParams이기 때문에 대괄호 안에 객체를 받아올 변수 이름을 적어주어야 한다. 

 ex) const [ searchParams ] = useSearchParams();

    const q = useSearchParams();
    console.log(q);

 

parameter값이 여러개인 경우 parameter의 value와 done을 forEach method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const [ searchParams ] = useSearchParams();
    // useSearchParams() 반환값이 Array
    // 0 : URLSearchParams
    // 1 : function
    

    searchParams.forEach( (done, value) => {
        console.log( value + " : "+ done);
    })

 

localhost:3000/about?detail=true&isMobile=false 인 경우 console 결과

728x90

이전 글

1. 2022.02.09 - [React] - [ React ] React Router


react-router-dom :: <Link> component

react-rotuer-dom library의 <Link> component는 html의 <a> tag와 같이 연결된 주소로 페이지를 전환시켜준다.

 

<a> tag의 경우 페이지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페이지를 불러오면서 애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던 모든 상태를 날려버려 렌더링되어있던 모든 컴포넌트들도 모두 사라지고 페이지를 모두 처음부터 다시 렌더링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react-rotuer-dom library를 사용하여 라우팅 하는 경우에는 <a>태그로 이루어져 있지만 페이지 전환을 방지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Link> component 를 사용하여 페이지 전환을 해야한다. 

 

<Link> component를 사용하여 페이지를 전환하면 페이지를 새로 불러오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은 유지를 한 상태에서 HTML 5 History API를 사용하여 페이지의 주소만 변경해준다. 

 

<Link> Component 사용방법

<Link to="주소">내용</Link>

 

 App.js

// src/App.js

import './App.css';
import {Link, Route, Routes} from "react-router-dom";
import Home from "./Home";
import About from "./About";


function App() {
  return (
    <div className="App">
        <h1> 라우팅 프로젝트 </h1>

        <ul>
            <li>
                <h2><Link to="/">Home</Link></h2>
            </li>

            <li>
                <h2><Link to="/about">About</Link></h2>
            </li>
        </ul>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Home</Route>
            <Route path="/about" element={<About />}>About</Route>
        </Routes>
    </div>
  );
}

export default App;

 

실행화면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