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 n이 어떤 양의 정수 x의 제곱인지 아닌지 판단하려 합니다.
n이 양의 정수 x의 제곱이라면 x+1의 제곱을 리턴하고, n이 양의 정수 x의 제곱이 아니라면 -1을 리턴하는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n은 1이상, 50000000000000 이하인 양의 정수입니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1
121은 양의 정수 11의 제곱이므로, (11+1)를 제곱한 144를 리턴합니다.

입출력 예#2
3은 양의 정수의 제곱이 아니므로, -1을 리턴합니다.


내 코드

function solution(n) {    
    return Math.sqrt(n) % 1 === 0 ? Math.pow(Math.sqrt(n) + 1, 2) : -1;
}
728x90

만다라트 계획으로 프로그래머스 문제 50개 풀기를 넣어서 lv1 안푼것 부터 시간나는대로 풀기로 했다. 

더 쉽고, 간단하게 푸는 방법이 있을 것 같았는데 나는 저정도 풀이밖에 생각나지 않았다. 

 

문제 설명

자연수 N이 주어지면, N의 각 자릿수의 합을 구해서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만들어 주세요.
예를들어 N = 123이면 1 + 2 + 3 = 6을 return 하면 됩니다.

제한사항
  • N의 범위 : 100,000,000 이하의 자연수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9 + 8 + 7 = 24이므로 24를 return 하면 됩니다.


내 풀이

function solution(n)
{
    var answer = 0;

    let nString = n.toString();
    while( nString.length !== 0 ){
        answer += n % 10 ;
        nString = n.toString().slice(0, -1);
        n = Number(nString);
    }

    return answer;
}


728x90

문제

ANIMAL_INS 테이블은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동물의 정보를 담은 테이블입니다. ANIMAL_INS 테이블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ANIMAL_ID, ANIMAL_TYPE, DATETIME, INTAKE_CONDITION, NAME, SEX_UPON_INTAKE는 각각 동물의 아이디, 생물 종, 보호 시작일, 보호 시작 시 상태, 이름, 성별 및 중성화 여부를 나타냅니다.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모든 동물의 정보를 ANIMAL_ID순으로 조회하는 SQL문을 작성해주세요. SQL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답안

SELECT * from ANIMAL_INS ORDER BY ANIMAL_ID

728x90

H-Index

문제 설명

H-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어느 과학자의 H-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 위키백과1에 따르면, H-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Index입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과학자의 H-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1편 이상 1,000편 이하입니다.
  • 논문별 인용 횟수는 0회 이상 10,000회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citationsreturn
[3, 0, 6, 1, 5] 3

 

입출력 예 설명

이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5편이고, 그중 3편의 논문은 3회 이상 인용되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2편의 논문은 3회 이하 인용되었기 때문에 이 과학자의 H-Index는 3입니다.


문제 풀이

H-index 를 이해하는데 시간 좀 오래 걸렸었다.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270333 내용을 참고하였다. 피인용수와 논문수가 같아지거나, 피인용수와 논문수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숫자가 H-index이기 때문에 citations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준 후 for을 돌려 조건문을 통해서 피인용지수와 논문 index 를 비교하여 조건에 걸리면 H-index를 return하게 코드를 짰다. 

 

function solution(citations) {
    
    // 내림차순 정렬
    citations.sort( (a,b) => {
        return b - a;
    });
        
    for( let i = 0 ; i < citations.length ; i ++){
        let h_index = i + 1;
        if( citations[i] < h_index){
            return h_index - 1;
        }
        
        if( citations[i] === h_index){
            return h_index;
        }
        
        if( h_index === citations.length ){
            return h_index;
        }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