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오래전 유행했던 콜라 문제가 있습니다. 콜라 문제의 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답은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세요.

콜라 빈 병 2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1병을 주는 마트가 있다. 빈 병 20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가?

단, 보유 중인 빈 병이 2개 미만이면, 콜라를 받을 수 없다.

문제를 풀던 상빈이는 콜라 문제의 완벽한 해답을 찾았습니다. 상빈이가 푼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우선 콜라 빈 병 20병을 가져가서 10병을 받습니다. 받은 10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5병을 받습니다. 5병 중 4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2병을 받고, 또 2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1병을 받습니다. 받은 1병과 5병을 받았을 때 남은 1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면 1병을 또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상빈이는 총 10 + 5 + 2 + 1 + 1 = 19병의 콜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문제를 열심히 풀던 상빈이는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생각했습니다. 이 문제는 빈 병 a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b병을 주는 마트가 있을 때, 빈 병 n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기존 콜라 문제와 마찬가지로, 보유 중인 빈 병이 a개 미만이면, 추가적으로 빈 병을 받을 순 없습니다. 상빈이는 열심히 고심했지만, 일반화된 콜라 문제의 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상빈이를 도와,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세요.

콜라를 받기 위해 마트에 주어야 하는 병 수 a, 빈 병 a개를 가져다 주면 마트가 주는 콜라 병 수 b,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빈 병의 개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상빈이가 받을 수 있는 콜라의 병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b < a  n ≤ 1,000,000
  • 정답은 항상 int 범위를 넘지 않게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본문에서 설명한 예시입니다.

입출력 예 #2

  • 빈 병 20개 중 18개를 마트에 가져가서, 6병의 콜라를 받습니다. 이때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콜라 병의 수는 8(20 – 18 + 6 = 8)개 입니다.
  • 빈 병 8개 중 6개를 마트에 가져가서, 2병의 콜라를 받습니다. 이때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콜라 병의 수는 4(8 – 6 + 2 = 4)개 입니다.
  • 빈 병 4 개중 3개를 마트에 가져가서, 1병의 콜라를 받습니다. 이때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콜라 병의 수는 2(4 – 3 + 1 = 2)개 입니다.
  • 3번의 교환 동안 상빈이는 9(6 + 2 + 1 = 9)병의 콜라를 받았습니다.

내 코드

function solution(a, b, n) {
    var answer = 0; // 빈병으로 맞바꾼 콜라 수 
    // 소유중인 빈병 수
    let hold = n;
    while(hold >= a){
        let coka = Math.floor(hold/a) * b;
        answer += coka;
        hold = (hold % a) + coka;
    }

    return answer;
}
728x90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2.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3.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

 


내 코드

function solution(array, commands) {
    const answer = [];
    for(let idx = 0 ; idx < commands.length ; idx++){
        let temp = array;
        let i = commands[idx][0];
        let j = commands[idx][1];
        let k = commands[idx][2];

        temp = temp.slice(i-1,j);
        temp.sort(function(a,b){
            return a-b;
        });    
        
        answer.push(temp[k-1]);
    }
    
    return answer;
}
728x90

문제 설명

문자열 s의 길이가 4 혹은 6이고, 숫자로만 구성돼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s가 "a234"이면 False를 리턴하고 "1234"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사항
  • s는 길이 1 이상, 길이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s는 영문 알파벳 대소문자 또는 0부터 9까지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문제가 잘 안풀린다면😢


첫 풀이

function solution(s) {
    return !isNaN(s) && (s.length === 4 || s.length === 6) ? true : false;
}

테스트 케이스 11만 통과를 못함.

구글링해본 결과 테스트 케이스 11은 지수 예외처리를 해줘야한다고 한다.


두 번째 풀이

function solution(s){
  var regex = /^\d{6}$|^\d{4}$/;
  return regex.test(s);
}

이번에는 다음 정규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었다.

728x90

문제 설명

어떤 정수들이 있습니다. 이 정수들의 절댓값을 차례대로 담은 정수 배열 absolutes와 이 정수들의 부호를 차례대로 담은 불리언 배열 sig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실제 정수들의 합을 구하여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bsolutes의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absolutes의 모든 수는 각각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signs의 길이는 absolutes의 길이와 같습니다.
    • signs[i] 가 참이면 absolutes[i] 의 실제 정수가 양수임을, 그렇지 않으면 음수임을 의미합니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signs가 [true,false,true] 이므로, 실제 수들의 값은 각각 4, -7, 12입니다.
  • 따라서 세 수의 합인 9를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signs가 [false,false,true] 이므로, 실제 수들의 값은 각각 -1, -2, 3입니다.
  • 따라서 세 수의 합인 0을 return 해야 합니다.

내 코드

function solution(absolutes, signs) {
    let answer = 0;
    for(let i = 0 ; i < signs.length ; i ++){
        let temp = absolutes[i];
        if(!signs[i]){
            temp *= -1;
        }
        answer += temp;
    }
    return answer;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