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내용
🌼 DFS & BFS 기초 문제 풀이
📄 <문제> 음료수 얼려 먹기: 문제 설명
- N x M 크기의 얼음 틀이 있습니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은 0, 칸막이가 존재하는 부분은 1로 표시됩니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끼리 상, 하 , 좌, 우로 붙어 있는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 이때 얼음 틀의 모양이 주어졌을 때 생성되는 총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다음의 4 x 5 얼음 틀 예시는 아이스크림이 총 3개 생성됩니다.
✅ 문제 풀이 접근 및 내 코드
- (0,0)을 start로 BFS를 통해 나누어진 구역의 개수를 카운트 한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m = map(int, input().split())
maps = []
# 1. 입력값 세팅
for _ in range(n):
maps.append(list(input().strip()))
# 2. BFS 메소드 정의
directions = [(-1, 0), (0, -1), (0, 1), (1, 0)]
def bfs(maps, cnt):
for i in range(len(maps)):
for j in range(len(maps[0])):
if maps[i][j] == '0':
start = (i, j)
break
queue = deque([start])
maps[start[0]][start[1]] = '1'
while queue:
x, y = queue.popleft()
maps[x][y] = cnt
for dx, dy in directions:
nx, ny = x + dx, y + dy
if 0 <= nx < len(maps) and 0 <= ny < len(maps[0]) and maps[nx][ny] == '0':
queue.append((nx, ny))
maps[nx][ny] = '1'
return maps
def check0(maps):
for m in maps:
if '0' in m:
return True
return False
cnt = 0
while check0(maps):
cnt += 1
maps = bfs(maps, cnt)
print(cnt)
🌼 문제 해결 아이디어 및 해설 풀이 코드
- DFS를 활용하는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 특정한 지점의 상, 하, 좌, 우를 살펴본 뒤에 주변 지점 중에 값이 '0'이면서 아직 방문하지 않은 지점이 있다면 해당 지점을 방문
- 방문한 지점에서 다시 상, 하, 좌, 우를 살펴보면서 방문을 진행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연결된 모든 지점을 방문할 수 있다.
- 모든 노드에 대하여 1~2번의 과정을 반복하며, 방문하지 않은 지점의 수를 카운트 한다.
# DFS로 특정 노드를 방문하고 연결된 모든 노드들도 방문
def dfs(x, y):
# 주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즉시 종료
if x <= -1 or x >= n or y <= -1 or y >= m:
return False
# 현재 노드를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면
if graph[x][y] == 0:
# 해당 노드 방문처리
graph[x][y] = 1
dfs(x -1, y)
dfs(x, y -1)
dfs(x + 1, y)
dfs(x, y + 1)
return True
return False
# N, M 을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입력 받기
n, m = map(int, input().split())
# 2 차원 리스트의 맵 정보 입력 받기
graph = []
for i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
# 모든 노드(위치)에 대하여 음료수 채우기
resul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 현재 위치에서 DFS 수행
if dfs(i, j) == True:
result += 1
print(result)
📄 <문제> 미로 탈출: 문제 설명
- 00이는 N x 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의 미로에 갖혔습니다. 미로에는 여러 마리의 괴물이 있어 이를 피해 탈출해야 합니다.
- 00이의 위치는 (1,1)이며 미로의 출구는 (N, M)의 위치에 존재하며 한 번에 한 칸씩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때 괴물이 있는 부분은 0으로, 괴물이 없는 부분은 1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미로는 반드시 탈출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됩니다.
- 이때 00이가 탈출하기 위해 움직여야 하는 최소 칸의 개수를 구하세요. 칸을 셀 때는 시작 칸과 마지막 칸을 모두 포함해서 계산합니다.
✅ 문제 풀이 접근 및 내 코드 >> 최단거리를 구해야 하기 때문에 DFS가 아닌 BFS가 적합
- DFS를 활용하여 구현
- 오른쪽, 아래 이동하는 것을 우선으로 탐색하도록 구현
n, m = map(int, input().split())
maps = []
# 1. 입력값 세팅
for _ in range(n):
maps.append(list(map(int, input())))
directions = [(0, 1), (1, 0), (-1, 0), (0, -1)]
def dfs(maps, start):
stack = [(start)]
visited = set()
visited.add(start)
step = 2
while stack:
x, y = stack.pop()
if x == len(maps)-1 and y == len(maps[0])-1:
maps[x][y] = step
break
if maps[x][y] == 1:
maps[x][y] = step
step += 1
for dx, dy in directions:
nx, ny = x + dx, y + dy
if 0 <= nx < len(maps) and 0 <= ny < len(maps[0]):
if maps[nx][ny] == 1:
stack.append((nx, ny))
break
dfs(maps, (0,0))
print(maps[-1][-1] - 1)
# 5 6
# 101010
# 111111
# 000001
# 111111
# 111111
🌼 문제 해결 아이디어 및 해설 풀이 코드
- BFS는 시작 지점에서 가까운 노드부터 차례대로 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탐색한다.
- 상, 하, 좌, 우로 연결된 모든 노드로의 거리가 1로 동일하다.
- 따라서 (1,1)지점부터 BFS를 수행하여 모든 노드의 최단 거리 값을 기록하면 해결할 수 있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BFS 소스코드 구현
def bfs(x, y):
# 큐 구현을 위해 deque 라이브러리 사용
queue = deque((x,y))
# 큐가 끝날때까지 반복하기
while queue:
x, y = queue.popleft()
# 현재 위치에서 4가지 방향으로의 위치 확인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nx < 0 or nx >= n or ny < 0 or ny >= m:
continue
# 벽인 경우 무시
if graph[nx][ny] == 0:
continue
# 해당 노드를 처음 방문하는 경우에만 최단 거리 기록
if graph[nx][ny] == 1:
graph[nx][ny] = graph[x][y] + 1
queue.append((nx, ny))
return grpah[n-1][m-1]
n, m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i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
dx = [-1, 1, 0, 0]
dy = [0, 0, -1, 1]
print(bfs((0,0)))
728x90
'Algorithm&CodingTest >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with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Floyd-Warshall Algorithm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 (0) | 2024.10.08 |
---|---|
🌼 Dijkstra Algorithm(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최단경로 알고리즘 (0) | 2024.10.04 |
🌼 BFS(Breath-First-Search) Algorithm (0) | 2024.10.02 |
🌼 DFS(Depth-First-Search) Algorithm (0) | 2024.10.02 |
🌼 Greedy Algorithm (탐욕 알고리즘) (1) | 2024.10.01 |